금식에 감춰 진 비밀

성경해석학(Biblical hermeneutics)/이규현
728x90

풍요의 시대, 모든 것이 넘쳐흐른다. 결핍의 문제보다 풍요로 일어나는 문제가 더 많다. 사람들은 포만감에 시달린다. 더 채워 달라는 육체적 본능이 보채는 대로 따라가면 위험하다. 육체적 선동에 휘둘리면 감각이 망가지고 영적 파산에 직면하게 된다. 금식은 육체의 요구에 대한 일시적인 저항이다. 육체의 욕구를 종종 통제함으로 영혼의 파리함을 막아야 한다. 움켜쥠으로 만족이 아니라 비움을 통해 채워지는 경험이 금식이다. 가장 기본적인 욕구를 일시적으로 차단함으로 잃어버린 영적 미각을 회복하고 하나님에 대한 갈망이 깊어지게 한다.

현대인들은 욕구에 끌려다니기 급급하다. 제어장치가 허술해 쉽게 무장해제된다. 육체적으로는 기름진 상태이지만 영적으로는 화전민 수준의 신자들이 늘어난다. 육체적 배부름은 영적인 부요함과 멀어질 위험성이 높다. C.S 루이스는 "우리는 최상의 소유는 결핍이다"라고 했다. 먹음으로 채워지기보다 비움으로 채워질 수 있다. 먹어야 힘을 얻는 길만 있는 것이 아니다. 하찮은 것 때문에 위대한 것이 자리할 공간이 없어질 때가 많다. 일상의 산만했던 것들로부터 벗어나 영적 몰입도가 높아지면 하나님에 대한 간절함이 일어난다.
금식을 통해 내면에 깊이 숨겨져 있던 것들이 드러나야 잃어버린 중심을 되찾을 수 있다.

금식의 형태들은 다양하다.
1) 물만 먹는 금식이 있다. 가장 많이 알려진 것으로 물만 먹으며 비교적 긴 기간 할 수 있다.
2) 음료 금식이 있다. 다른 음식은 먹지 않고 과일주스와 같은 가벼운 음료만 마시는 금식이다.
3) 에스더 금식은 음식은 물론 물도 먹지 않는다. 일체의 음식을 먹지 않는 것인데 3일 이상은 위험하다.
4) 다니엘 금식이 있다. 씹는 것은 피하고 가볍게 갈아서 마시는 수준의 금식이다.
5) 부분 금식이 있다. 음식은 먹지 않고 야채와 견과류 같이 가벼운 것만 먹으며 하는 금식이다.
6) 베네딕트 금식은 유럽의 수도사들이 주로 행했던 금식인데 하루에 한 끼만 먹는 금식이다. 그들은 금식을 통해 강한 육체와 함께 강한 영을 지니게 되었다고 한다.
7) 말의 금식이 있다. 말을 하지 않는 침묵의 금식도 유익하다. 말을 많이 하면 경건에 마이너스가 될 때가 많다.
8) 비판하는 영의 금식은 정죄와 판단을 멈추는 훈련이다. 방심하면 무수하게 정죄와 비판을 쏟아내며 살아간다. 비판은 영적으로 해롭다. 비판이 습관화되면 부정적인 영이 지배하게 된다. 사람들을 축복하기보다 공격적인 삶을 살게 된다.
9) 문화적 금식은 오늘 시대에 매우 중요한 영역이다. 현대 그리스도인들의 영적 에너지를 빼앗아가는 중요한 요인이다. 인터넷, TV 등, 미디어들로 영적 난청 현상이 벌어진다. 미디어 금식만으로도 영적 고출력을 경험할 수 있다.

금식은 광야의 경험이다. 자발적으로 불편을 선택하는 일이다. 금식의 과정에서 자기 부인을 하게 된다. 금식은 단순한 삶으로 이끈다. 금식을 통한 영적 집중력은 하나님만 바라보게 만든다. 금식 자체가 목적은 아니다. 금식을 통해 하나님과의 관계가 더 친밀해지는 것이 중요하다. 특별한 경우, 비상적인 순간 금식기도를 할 수 있지만, 평소에도 하나님과 깊은 만남을 위해서 금식할 수도 있다. 오직 하나님 앞에서만 시간을 보내고 싶을 때가 있다. 특정 음식이나 행동 중에서 절제하거나 금식하기에 너무 힘들지 않은 것 하나를 정해서 실천을 옮겨 보면 독특한 경험을 할 수 있다. 처음에는 부담스럽지만, 금식을 통해서만 누리는 영적 즐거움과 비밀이 있다.

존 파이퍼는 "금식이란 세상 최고의 먹기보다 하나님의 천국 잔치를 즐기겠다는 주기적인 선포다"라고 했다.
하나님이 주신 것들을 적절히 향유해야 하지만 때로는 그런 것들을 거부함으로 방종의 유혹을 이겨내고 영적 무감각에서 벗어나 하나님을 더 깊이 갈망할 수 있다면 축복이다. 먹지 않고 힘을 뺄 때 잃어버렸던 영적 감수성이 회복될 때 하나님과의 사랑의 불꽃이 일어난다. "내가 내 몸을 쳐 복종하게 함은 내가 남에게 전파한 후에 자신이 도리어 버림을 당할까 두려워함이로다(고전 9:27)"

728x90